티스토리 뷰

낫다 낳다 돼다 되다 쉽게 구별하는 방법
낫다 낳다 돼다 되다 쉽게 구별하는 방법

 

글을 쓰거나 무언가를 적을 때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낫다'와 '낳다', '돼다'와 '되다'를 쉽게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팁까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낫다와 낳다 구별하기

2. 돼다와 되다 구별하기

3. 추가로 헷갈리는 맞춤법

 

 

낫다와 낳다 구별하기

 

1. '낫다'와 '낳다' 구별하기
이제 '낫다'와 '낳다'를 살펴볼까요? 이 두 단어는 모두 맞춤법이 맞지만, 발음과 의미가 다릅니다.

 

2. '낫다'의 의미
'낫다'는 '병이나 상처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 또는 '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블랙보다 화이트가 낫다. (O)
아픈 것이 씻은 듯이 낫다. (O)


3. '낳다'의 의미
반면, '낳다'는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또는 '어떤 결과를 이루거나 가져오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거북이가 알을 낳았어요. (O)
그 여자의 선택은 대단한 결과를 낳았다.( O)


잘못된 예시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 사람보다 네 동생이 낳아. (X)
병이 낳았다. (X)
이처럼 상황적 맥락을 살펴보면 '낫다'와 '낳다'를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월별 탄생화 탄생화 꽃말 1월부터 12월 장미 튤립 벚꽃 해바라기 총정리

월별 탄생화 탄생화 꽃말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요? 각 사람마다 태어난 달을 상징하는 탄생화가 있습니다. 하지만 탄생화는 나라별로 다르고, 같은 나라 안에서도 사람마다 다르게 알려져

grazia37.com

 

 

돼다와 되다 구별하기

 

1. '돼다'와 '되다' 구별하기
먼저, '돼다'와 '되다' 중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지 알아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되다'만이 맞춤법에 맞는 표현입니다.

 

2. '되다'의 활용
'되다'의 어간인 '되-'에 '-어', '-었-', '-어라' 등의 어미가 붙으면 '되어', '되어라', '되었-'으로 변형됩니다. 이때 줄여서 '돼', '돼라', '됐-'가 되는 것이죠.

 

엄마는 선생님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O)
엄마는 선생님이 돼라고 말씀하셨다. (X)


여기서 '되-' 뒤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지 않으면 '돼-'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3. '되요'와 '돼요'의 구별법
'되요'와 '돼요' 중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린다면, '되'와 '요' 사이에 '어'를 넣어보세요. 그러면 '되어요'가 됩니다. 

 

되요 (X)
되어요 (O)
돼요 (O)

 

 

MBTI 성격유형검사 쉽고 정확한 무료테스트 바로가기

MBTI 검사는 자기 발견과 개인적 성장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자기 인식 향상, 팀워크 및 갈등 해결 방식의 이해 증진, 그리고 진로 및 직업 선택에 도움을 줍니다. 자신

grazia37.com

 

 

추가로 헷갈리는 맞춤법

 

추가로 헷갈리는 맞춤법
마지막으로, '률'과 '율'의 구별도 알아볼까요? 비율을 나타낼 때 '률'과 '율'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을 사용합니다.
'ㄴ' 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을 사용합니다.

 

출석률, 합격률, 성공률, 실업
규율, 백분율, 출산율, 비율
이렇게 정리하면 맞춤법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돼다'와 '되다', '낫다'와 '낳다'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한글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하여 

자신감 있고 글의 내용과 표현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무료테스트 나만의 컬러 찾기

퍼스널컬러는 개인의 피부톤, 눈동자 색상, 머리카락 색상 등을 고려하여 어울리는 색상을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각 개인의 신체적 특징과 조화를 이루는 색상을 찾아내어, 자신의 이미지를

grazia37.com

낫다 낳다 돼다 되다 쉽게 구별하는 방법
낫다 낳다 돼다 되다 쉽게 구별하는 방법

반응형